티스토리 뷰
반응형
직접 만드는 나만의 블록체인 (7) – 스마트 계약 시뮬레이션 구현하기
🤖 스마트 컨트랙트, 직접 실행 가능한 블록체인 로직
이전 글까지는 트랜잭션 처리, 마이닝, 네트워크 통신 등 블록체인의 구조를 완성했습니다.
이제 블록체인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기 위해,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의 기본 개념과
이를 Python에서 직접 실행 가능한 형태로 시뮬레이션하는 구조를 구현해보겠습니다.
✅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이란?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
스마트 계약은 블록체인에서 실행되는 조건 기반 로직입니다.
일반적으로 Ethereum에서는 Solidity로 작성되지만,
우리는 이번에 Python 기반 블록체인 위에 실행할 수 있는 간단한 계약 실행 엔진을 만들어봅니다.
🧠 예시 스마트 계약 로직: 투표 시스템
반응형
✅ 컨셉:
- 유저들이 특정 후보에게 투표하는 스마트 계약
- 한 번만 투표할 수 있음
- 투표 결과는 블록체인에 저장됨
🛠 Step 1. 계약 데이터 구조 만들기
class SmartContract:
def __init__(self):
self.votes = {} # 후보별 투표 수
self.voted_users = set() # 중복 투표 방지
def execute(self, sender, candidate):
if sender in self.voted_users:
return False, "이미 투표하셨습니다."
self.voted_users.add(sender)
self.votes[candidate] = self.votes.get(candidate, 0) + 1
return True, f"{candidate} 후보에게 1표 추가됨"
✅ 스마트 계약 로직은 계약 객체 내부에서 실행되며, 외부 트랜잭션에 의해 호출됩니다.
🧾 Step 2. 트랜잭션에 스마트 계약 호출 정보 포함
class Transaction:
def __init__(self, sender, recipient, amount=0, contract_call=None, signature=None):
self.sender = sender
self.recipient = recipient
self.amount = amount
self.contract_call = contract_call # 예: {"type": "vote", "candidate": "Alice"}
self.signature = signature
✅ 트랜잭션 안에 contract_call 필드를 추가하여 특정 스마트 계약 호출 가능하게 구성
⚙️ Step 3. 마이닝 시 계약 로직 실행
class Blockchain:
def __init__(self):
self.contract = SmartContract()
# ...
def process_transactions(self, transactions):
valid_txs = []
for tx in transactions:
if not verify_transaction(tx):
continue
# 스마트 계약 호출 트랜잭션이면 실행
if tx.contract_call and tx.contract_call["type"] == "vote":
success, msg = self.contract.execute(tx.sender, tx.contract_call["candidate"])
if not success:
print(f"⛔ 계약 실행 실패: {msg}")
continue
print(f"✅ 계약 실행 성공: {msg}")
valid_txs.append(tx)
return valid_txs
✅ 이제 트랜잭션이 마이닝될 때 계약 로직도 함께 실행됩니다.
🧪 테스트: 투표 실행 트랜잭션 보내기
# 유저 지갑 생성
priv_pem, pub_pem = generate_wallet()
private_key = serialization.load_pem_private_key(priv_pem.encode(), password=None)
# 투표 트랜잭션 생성
contract_data = {"type": "vote", "candidate": "Alice"}
tx = Transaction(sender=pub_pem, recipient="CONTRACT", contract_call=contract_data)
tx.signature = sign_transaction(tx, private_key)
# 블록체인에 추가
blockchain.add_transaction(tx)
blockchain.mine_pending_transactions(miner_address="miner001")
# 투표 결과 확인
print(blockchain.contract.votes) # {'Alice': 1}
🎯 다양한 응용 가능성
계약 유형 설명
투표 | 유저들이 후보에게 투표 |
게시판 | 유저가 메시지를 게시 |
간단한 은행 | 이체 기능 내장 |
NFT 발행 | 메타데이터 저장 및 소유권 추적 |
🧠 정리
개념 설명
스마트 계약 | 블록체인 위에서 실행 가능한 조건 기반 로직 |
트랜잭션 호출 | contract_call 필드로 계약 호출 정보 전달 |
실행 시점 | 블록 생성 시 계약 로직을 실행 |
실행 결과 저장 | 계약 객체 내부에서 상태 저장 (votes 등) |
📌 다음 글 예고
👉 (8) 블록체인 DApp 만들기 – 스마트 계약을 브라우저에서 호출하는 인터페이스 구성
- Flask + HTML로 간단한 UI 구성
- 사용자의 지갑 주소 기반으로 트랜잭션 서명
- 투표 또는 메시지 전송 DApp 구현
'study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만드는 나만의 블록체인 (9) – 블록체인 네트워크 분산 실행 (Docker 배포 및 노드 간 연결) (0) | 2025.03.27 |
---|---|
직접 만드는 나만의 블록체인 (8) –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DApp 만들기 (0) | 2025.03.26 |
직접 만드는 나만의 블록체인 (6) – 네트워크 구성과 블록 전파 구현하기 (0) | 2025.03.25 |
직접 만드는 나만의 블록체인 (5) – 트랜잭션 풀과 블록 생성 과정 구현하기 (1) | 2025.03.24 |
직접 만드는 나만의 블록체인 (4) – 트랜잭션과 지갑 시스템 구현하기 (0) | 2025.03.24 |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SEO최적화
- 스마트 컨트랙트
- CI/CD
- Webpack
- Next.js
- nodejs
- NestJS
- 웹개발
- AI 자동화
- kotlin
- 백엔드개발
- seo 최적화 10개
- AI챗봇
- PostgreSQL
- 프론트엔드
- REACT
- llm
- nextJS
- Ktor
- LangChain
- gatsbyjs
- 관리자
- SEO 최적화
- fastapi
- Prisma
- rag
- github
- Docker
- 개발블로그
- App Rout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