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블록체인의 성능 최적화 및 확장성 솔루션

1.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란?

블록체인은 높은 보안성과 신뢰성을 제공하지만, 기존 중앙화 시스템에 비해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확장성 솔루션이 개발되었다.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로 인해 블록 처리 속도가 느려짐
높은 수수료(Gas Fee) 문제
레이어 2 솔루션 및 샤딩을 통한 확장성 개선 가능


2. 블록체인의 성능 저하 원인

① 블록 크기 제한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용량은 고정된 블록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블록 크기는 1MB로 제한되어 있어, 평균적으로 **7TPS(Transactions Per Second)**의 처리 속도를 보인다.

해결 방법: 블록 크기 증가(BCH, SegWit 적용)


② 네트워크 대역폭 문제

P2P 네트워크에서 모든 노드가 데이터를 동기화해야 하므로, 블록 크기가 커질수록 전체 노드의 데이터 전파 속도가 느려짐.

해결 방법: 블록 압축 기술, 경량 노드(Light Node) 사용


③ 합의 알고리즘의 한계

반응형

PoW(Proof of Work)는 높은 연산 비용과 전력 소모가 크며, 트랜잭션 속도가 느리다.
비트코인 PoW 방식의 경우, 블록 생성 시간이 평균 10분이 걸린다.

해결 방법: PoS, DPoS, BFT 기반의 합의 알고리즘 도입


3. 블록체인의 확장성 해결 기술

① 샤딩(Sharding) – 네트워크 병렬 처리

샤딩(Sharding)은 블록체인을 여러 개의 **작은 체인(샤드, Shard)**으로 분할하여 병렬 처리하는 방식이다.

각 샤드는 독립적으로 트랜잭션을 처리하므로 속도 증가
Ethereum 2.0에서 도입 예정

🔹 샤딩 개념

  ┌───────┐ ┌───────┐ ┌───────┐
  │ Shard1 │ │ Shard2 │ │ Shard3 │   → 병렬로 트랜잭션 처리
  └───────┘ └───────┘ └───────┘

② 레이어 2 솔루션 – 오프체인(Off-Chain) 처리

레이어 2는 기본 블록체인(레이어 1) 외부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솔루션이다.

기본 체인에서 트랜잭션 수를 줄여 성능 향상
수수료(Gas Fee) 절감 효과

🔹 주요 레이어 2 솔루션

기술 설명 대표 사례

라이트닝 네트워크 비트코인 오프체인 결제 채널 Bitcoin
Plasma 사이드 체인에서 트랜잭션 실행 후 메인 체인에 기록 Ethereum
ZK-Rollups 트랜잭션을 압축하여 메인 체인에 제출 Ethereum
Optimistic Rollups 트랜잭션을 묶어 실행 후 메인 체인에 저장 Ethereum

③ ZK-Rollups vs Optimistic Rollups 비교

구분 ZK-Rollups Optimistic Rollups

방식 암호학적 증명을 활용하여 트랜잭션 검증 트랜잭션을 실행하고 사후 검증
속도 빠른 검증 속도 검증 시간이 필요
보안성 높은 보안성 (Zero-Knowledge Proof) 부정행위 발생 시 디스퓨트 해결
적용 사례 zkSync, Loopring Arbitrum, Optimism

ZK-Rollups는 보안성이 높고 속도가 빠르지만, 구현이 어려움
Optimistic Rollups는 개발이 용이하지만 검증 속도가 느림


4. 블록체인 성능 최적화 방법

① 블록 크기 증가 (SegWit 적용)

비트코인은 세그윗(Segregated Witness, SegWit) 기술을 적용하여 블록 크기를 증가시킴
트랜잭션의 서명 데이터를 분리하여 효율적 저장 가능

🔹 세그윗 적용 전후 비교

구분 기존 트랜잭션 SegWit 적용 후

블록 크기 1MB 4MB (실질적)
처리 속도 7 TPS 14~20 TPS

② 블록 전파 속도 개선 (Gossip Protocol)

비트코인은 블록 전파를 최적화하기 위해 'Gossip Protocol'을 활용
노드 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블록 생성 시간 단축


③ DAG(Directed Acyclic Graph) 구조 활용

DAG 기반 블록체인은 기존 체인 구조와 다르게 여러 개의 블록을 병렬로 생성할 수 있음.

  • IOTA, Hedera Hashgraph, Fantom 등에서 사용됨
  • 빠른 트랜잭션 속도를 제공하며 확장성이 뛰어남

DAG 구조는 합의 알고리즘 없이 빠르게 블록을 연결 가능
소규모 결제 시스템에서 유리


5. 블록체인 네트워크 확장성 테스트 (Python 코드 예제)

① 블록 생성 속도 비교 테스트

import time
import hashlib

def create_block(data):
    start_time = time.time()
    nonce = 0
    while True:
        block_data = f"{data}{nonce}".encode()
        block_hash = hashlib.sha256(block_data).hexdigest()
        if block_hash[:4] == "0000":  # 난이도 4
            break
        nonce += 1
    end_time = time.time()
    return block_hash, end_time - start_time

# 성능 테스트
block_1 = create_block("Block 1")
block_2 = create_block("Block 2")

print(f"Block 1 Hash: {block_1[0]}, 생성 시간: {block_1[1]:.2f}초")
print(f"Block 2 Hash: {block_2[0]}, 생성 시간: {block_2[1]:.2f}초")

PoW 방식에서는 난이도가 증가할수록 블록 생성 시간이 길어짐
레이어 2 기술을 적용하면 블록체인의 속도를 높일 수 있음


6. 결론

샤딩, 레이어 2 솔루션(ZK-Rollups, Optimistic Rollups) 적용으로 블록체인 성능 향상 가능
세그윗, DAG, 블록 압축 기술 등을 통해 블록 처리 속도 개선 가능
미래의 블록체인은 높은 TPS와 저렴한 수수료를 갖춘 확장성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

📌 다음 글에서는 블록체인의 실제 적용 사례 및 비즈니스 활용 방안을 다룰 예정 🚀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