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웹 개발 실무 기술 A to Z
A – API 설계의 모든 것
1. API란 무엇인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웹 개발에서는 **프론트엔드(클라이언트)**와 **백엔드(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API를 사용합니다.
2. API의 종류
- REST API: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 API 방식 (예: GET /users/1)
- GraphQL API: 하나의 요청으로 필요한 데이터만 가져오는 방식
- gRPC API: 고성능 바이너리 프로토콜 기반 API
- WebSocket API: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API
B – 백엔드 아키텍처 설계
- Monolithic vs. Microservices: 단일 서버 아키텍처 vs. 서비스 분할 아키텍처
- MVC 패턴: Model-View-Controller를 활용한 구조화된 설계
C – 캐싱(Cache) 전략
- 클라이언트 캐싱: 브라우저 캐싱, Service Worker 활용
- 서버 캐싱: Redis, Memcached를 활용한 데이터 캐싱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정적 파일 로딩 속도 향상
D – 데이터베이스 설계
- SQL vs No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MySQL, PostgreSQL) vs.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MongoDB, Firebase)
- 인덱싱과 성능 최적화: 쿼리 속도를 높이는 인덱스 적용 방법
마무리 및 다음 글 예고
이 시리즈는 A부터 Z까지 웹 개발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을 깊이 있게 다룰 예정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API 설계의 원칙과 실무 적용 방법을 다룰 예정입니다.
다음 글 예고: "API 설계 원칙 – RESTful API와 GraphQL 비교" 🚀
'project > 웹 개발 실무 기술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개발 실무 기술 A to Z # 5 - 데이터베이스 성능 최적화: 인덱싱, 샤딩, 캐싱 전략 (0) | 2025.02.24 |
---|---|
웹 개발 실무 기술 A to Z # 4 -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강화: CORS, HTTPS, SQL Injection 방어 (0) | 2025.02.24 |
웹 개발 실무 기술 A to Z # 3 - API 성능 최적화: 캐싱, 압축, 레이트 리미팅 활용 (0) | 2025.02.24 |
웹 개발 실무 기술 A to Z # 2 - API 인증 및 보안: JWT와 OAuth 2.0 활용법 (0) | 2025.02.23 |
웹 개발 실무 기술 A to Z #1 - A – API 설계 원칙: RESTful API와 GraphQL 비교 (0) | 2025.02.23 |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App Router
- github
- PostgreSQL
- seo 최적화 10개
- Webpack
- AI챗봇
- Ktor
- LangChain
- 웹개발
- AI 자동화
- fastapi
- 백엔드개발
- Prisma
- 관리자
- llm
- nodejs
- gatsbyjs
- 개발블로그
- SEO최적화
- nextJS
- 스마트 컨트랙트
- REACT
- Docker
- Next.js
- rag
- NestJS
- CI/CD
- SEO 최적화
- kotlin
- 프론트엔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