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웹 서버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웹 개발과 배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목적과 기능에 있어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두 서버의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웹 서버 (Web Server)

웹 서버는 주로 정적 콘텐츠(HTML 파일, 이미지, CSS, JavaScript 등)를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특징:

  • 주요 기능: 웹 브라우저와 클라이언트에게 정적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 프로토콜: HTTP 또는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요청과 응답을 처리합니다.
  • 책임: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정적 파일을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 예시: Apache HTTP Server, Nginx, Microsoft IIS.

작동 방식:

  1. 클라이언트 요청: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하여 요청을 보냅니다.
  2. 서버 응답: 웹 서버는 요청된 파일(HTML, 이미지 등)을 찾아 응답합니다.
  3. 정적 콘텐츠: 웹 서버는 동적인 처리 없이 요청된 파일을 그대로 반환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eb Application Server)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정적 콘텐츠뿐만 아니라 동적 콘텐츠도 처리할 수 있는 서버입니다. 이 서버는 서버 사이드에서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실행하고, 종종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을 합니다.

주요 특징:

  • 주요 기능: 동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버 사이드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합니다.
  • 프로토콜: HTTP/HTTPS를 포함해 다른 프로토콜(예: WebSocket, 데이터베이스 프로토콜 등)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책임: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로직을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여 동적인 콘텐츠를 생성합니다.
  • 예시: Apache Tomcat, Microsoft IIS (애플리케이션 서버 기능 포함), WildFly.

작동 방식:

  1. 클라이언트 요청: 사용자가 동적 콘텐츠를 요청합니다 (예: 사용자 데이터를 보여달라고 요청).
  2. 비즈니스 로직 처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서버 사이드에서 코드 실행(예: Java 서블릿, PHP, Python 스크립트 등)을 합니다.
  3. 동적 콘텐츠 생성: 서버는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여 동적인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

주요 차이점

특징 웹 서버 (Web Server)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eb Application Server)

주요 역할 정적 콘텐츠 제공 (HTML, CSS, 이미지 등) 동적 콘텐츠 처리 및 애플리케이션 로직 실행
정적/동적 콘텐츠 정적 콘텐츠만 제공 정적 및 동적 콘텐츠 모두 처리
프로토콜 주로 HTTP/HTTPS 프로토콜 사용 HTTP/HTTPS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토콜도 처리 가능
복잡성 상대적으로 단순, 정적 콘텐츠 제공에 집중 더 복잡, 비즈니스 로직 처리,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 포함
예시 Apache HTTP Server, Nginx, IIS (정적 파일 제공용) Apache Tomcat, WildFly, IIS (애플리케이션 서버 기능 포함)
주요 용도 정적 콘텐츠가 주로 필요한 웹사이트에서 사용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거나 비즈니스 로직이 필요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서로 함께 사용할 수 있음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종종 함께 사용됩니다:

  • 웹 서버는 정적 콘텐츠(HTML, 이미지 등)를 제공하고, 동적 요청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여 처리합니다.

예를 들어:

  • Nginx(웹 서버)는 HTTP 요청을 처리하고, 동적 요청은 Apache Tomcat(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전달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요약

  • 웹 서버 (Web Server): 주로 정적 콘텐츠(HTML, 이미지 등)를 제공하는 서버입니다.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eb Application Server): 정적 콘텐츠뿐만 아니라, 동적인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여 동적 콘텐츠를 생성하는 서버입니다.

따라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더 복잡하고, 동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반면, 웹 서버는 정적 콘텐츠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728x90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O ... VO ...]  (0) 2024.12.13
728x90

DTO (Data Transfer Object)와 VO (Value Object)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으로, 주로 데이터 구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그 목적과 사용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1. DTO (Data Transfer Object)

  • 목적: DTO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나 시스템 간에 전달할 때 사용하는 객체입니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혹은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 특징:
    • DTO는 주로 다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 비즈니스 로직이 없다. 즉, DTO는 데이터만 포함하고 있으며, 그 자체로 로직이나 행동을 가지지 않습니다.
    • DTO는 하나의 계층에서 다른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됩니다.
    • 객체 생성 후 변경될 수 있다. 즉,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변경하는 기능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VO (Value Object)

  • 목적: VO는 특정 값 또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객체로, 주로 **불변성(immutable)**을 가지며, 값을 비교하거나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하는 데 사용됩니다.
  • 특징:
    • VO는 값을 표현하는 객체로, 값의 동등성 비교가 중요합니다. 두 VO 객체는 동일한 값이면 같은 객체로 간주됩니다.
    • 불변성을 가지므로, 한 번 생성된 후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주소"라는 VO 객체는 주소 값이 설정되면 변경할 수 없습니다.
    • VO는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값이 유효한지 체크하는 로직을 VO 내에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동등성 비교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두 VO 객체의 값이 같으면 동일한 것으로 취급합니다.

주요 차이점 요약

특징 DTO VO

목적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객체 특정 값이나 개념을 나타내는 객체
불변성 변경 가능 불변성 (객체 생성 후 변경 불가)
비즈니스 로직 없음 (단순 데이터 전송용) 있음 (값의 유효성 검증 등)
용도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 값의 의미를 표현하거나 비교하는 용도
동등성 비교 객체의 동일성(주소 비교) 기준으로 비교 값의 동등성 기준으로 비교

 

  • DTO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집중하며, 변경 가능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 VO는 데이터를 값으로 취급하고, 불변성동등성이 중요하며,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728x90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서버... WAS]  (0) 2024.12.16
728x90

8월 마지막주가 지나고 9월이 시작된지 11일 째

8월 마지막주에 대한 회고 작성이 늦어졌다. 그동안 너무 바빴다. 지금도 그렇지만

 

트레바리 마지막 모임이 있었다.

트레바리는 독서모임인데 4개월의 비용을 지불하고 참가하게 되었다. 이전까지는 독서모임이라던가 사교모임과 같은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기회가 있는 모임에 참석해본적은 없다. 6월에 갑자기 경험해보고 싶다는 생각, 또 이왕이면 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독서모임인 트레바리에 참가하게 되었고, 총 4번의 모임 중 1번을 제외하는 참석하였다.

 

독서모임을 해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또 적극적인 의견을 내고 싶은 사람이라면 트레바리를 해보는것도 나쁘지 않겠다라는 생각을 했다. 비용이 비싸게 느껴지기는 했지만 그만큼 모임에 자진 참석 해야하는 강제성이 생기는게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조금 더 시간이 여유로웠다면 좋았을 것을....

 

책을 읽는다는건 생각보다. 여유로운 시간이 필요한 일이라는 것을 이번에 느꼈다. 강제적으로 책을 읽어야 하는 상황에 놓인건 좋았지만, 책을 읽고 공감한다기 보다는 어떤 이야기를 하면 될까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고, 독후감 제출 시간안에 읽어야 했기 때문에 마냥 쉬엄쉬엄 읽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728x90

+ Recent posts